-
목차
한중 교육·문화 교류 플랫폼: 개념부터 사례 및 정책 제언까지
1. 한중 교육·문화 교류 플랫폼이란?
한중 교육·문화 교류 플랫폼은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며, 크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정부 간·교육기관 간·민간 협력 형태로 나뉩니다. 대표적으로는:
- CAMPUS Asia (한·중·일 학술교류 협의체)
- K-MOOC와 KOCW 등 한국형 MOOC 플랫폼
- King Sejong Institute를 통한 한국어 교육
- 중국의 Confucius Institute를 통한 한국 내 중국어·문화 확산
- 대학 간 자매결연 및 온라인 공동강의 (예: 뷰천대, 한국대 교육협의회)
2. 주요 온라인 플랫폼 사례
2‑1. CAMPUS Asia (대학연합 교류 프로그램)
한국대학교육협의회(KCUE)는 CAMPUS Asia를 통해 2011년~2022년 동안 다음과 같은 교류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구분 한국‑중국 (Double Degree) 한국‑중국 (Exchange) 한국‑중국 (Short-term Exchange)
파견(Outbound) 32 (정규) / 262 (전체) 204 / 498 151 / 1,567 수혜(Inbound) 42 / 341 166 / 499 205 / 1,085 - 2016~2020년 본격 운영 이후 양국 대학교 간 학생·교수 교류 확대
- 정규 복수학위(double degree) 및 단기 교환 프로그램이 활성화됨
- 양국 대학이 공동 교과과정을 구성하고, 이수 후 학위 취득까지 연계
2‑2. K-MOOC & KOCW (온라인 공개 강의)
- K-MOOC는 2015년부터 운영 중으로, 한국어로 제공되는 강의를 중국인 학습자 대상 수업으로 변환하거나 중국어 자막을 도입한 과목이 증가
- KOCW는 224개 대학 자료를 포함하고, 기술직·직업 교육과정 확대(TVET) 프로젝트를 통해 성인 학습자 대상 콘텐츠를 강화
- 예시: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한국사회 이해’ 과목, ‘한중 언어·문화 비교론’ 등
2‑3. King Sejong Institute (세종학당)
- 2007년 개원 후 2024년 2월 기준 전 세계 85개국, 248개 센터 운영
- 한국 정부가 지원하며, 한중 언어·문화 교류의 중심축으로 작용
-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 유입 활성화 → 유학생 증가 및 문화 이해 기반 확장
2‑4. Confucius Institute (공자학원)
- 중국 정부기관에서 운영, 중국어 학습과 중국 문화 전파에 집중
- 한국 내 중국어 수요 증가와 맞물려, 쌍방향 문화 교류의 문화 축 역할
3. 오프라인·대학 간 교류 사례
3‑1. 뷰천대학교 국제교류원
- 2008년부터 중국 선양 한국학교, 하얼빈 과기대 등과 자매결연 체결
- 교원 대상 특강, 학생 대상 온라인 강의 교환, 문화 체험 활동 등 실시
3‑2. 인하대 K-Academic Expansion Project
- 2025년 3월부터 2026년 2월까지 'China in Korea and Korea in China', '한국사회와 이주' 등 강좌 운영
- 한국 내 중국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교과 프로그램 제공
4. 플랫폼별 목적과 성과
플랫폼 목적 및 역할 주요 성과
CAMPUS Asia 고등교육 교류 및 복수학위 2022년까지 4,598명 교류 K-MOOC / KOCW 공공교육 확산·언어·문화 교류 TVET, 한국이해 교육과정 강화 King Sejong Institute 한국어·문화 보급 전 세계 센터 248개 Confucius Institute 중국어·중국 문화 확산 쌍방향 문화 이해 도모 대학 간 자매결연(뷰천대, 인하대 등) 맞춤형 단기 교류·온라인 강의 교수 및 학생 상호 교류, 문화 교감 확대
5. 실제 사례
5‑1. 복수학위 이수 학생 사례
- 한국 대학과 중국 대학 간 ‘3+1’ 또는 ‘2+2’ 형태의 복수학위 프로그램이 늘고 있음
- 졸업 시 한국·중국 양국 학위 취득 가능, 글로벌 인재 양성에 기여
5‑2. 중국 학생 대상 한국 문화 이해 강좌
- K-MOOC의 ‘Language and Culture of Korea and China’ 과목은 한국어로 강의되며, 중국 학습자를 위한 문화 비교 수업으로 인기
5‑3. King Sejong Institute 내 활동
- 한국어 수업 외에도 전통문화 체험(한복, 한글, 한식) 프로그램 운영
- 중화권 학생들의 한국 유학 전 단계로 활용
5‑4. 온라인 문화 교류 행사
- 서울 비대면 VLOG 공모, 북경 ‧ 선양 교사 대상 특강 등 원격 교류 이벤트도 활발하게 진행
6. 플랫폼 성공 요인 및 향후 과제
성공 요인
- 정부의 조직적 지원 (교육부, 문체부 등)
-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 (MOOC + 현장 체험)
- 고등교육, 평생교육, 언어교육의 통합 구조화
과제
- 일부 플랫폼(Confucius 등)의 정치적·이념적 편향성 우려
- 교류 실적은 늘지만, 정량적 통계 부족– 실제 수혜자 분석 요구
- 조선족 2세 등 대상 맞춤형 콘텐츠 부족
- 플랫폼 연계의 지속성 확보 및 사업 연속성 강화 필요
7. 정책 제언 및 미래 방향
- 조선족 등 이중문화 계층 대상 맞춤형 콘텐츠 강화
- 데이터 기반 성과 분석 시스템 마련 (수료율, 유학 전환율 등)
- 민·관·학 연계 프로그램 확대 (문화체험, 창업지원 등 포함)
- MOOC와 오프라인 연계형 온·오프라인 통합 플랫폼 구축
- 언어 장벽 완화 → 문화 이해 → 인적 네트워크 형성 → 인재 교류의 선순환 고리 구축
결론
한중 교육·문화 교류 플랫폼은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문화 공감과 상호 이해를 위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MOOC, 언어 교육, 교환 프로그램, 문화 체험 등을 통해 양국이 지속 가능한 인적 네트워크와 글로벌 인재 양성이라는 공통 목표로 나아가는 길을 열고 있습니다. 향후 조선족 2세, 직업교육층 등 대상 콘텐츠 보강과 데이터 분석 기반 성과관리, 그리고 플랫폼 연계 확장을 통해 더욱 높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다문화,외국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내 조선족 인구에 대해 (1) 2025.06.30 대림동 조선족 타운 (1) 2025.06.29 조선족의 한국 정착 (2) 2025.06.28 국가별 고용구조 개혁 (0) 2025.06.27 한국 외국인 노동자 비율 (1) 2025.06.26